기타

파이썬 입력 받기

비숑주인 2023. 5. 9. 09:10

list(map(int, input().split()))

구문은 입력된 문자열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한 후, 각 요소를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리스트로 만드는 코드이다.

deque(range(1, N+1))은 1부터 N까지의 숫자를 포함하는 덱을 생성하는 코드이다.

 

len() 함수는 파이썬에서 리스트, 문자열, 튜플 등과 같은 시퀀스(sequence) 객체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는 시퀀스 객체에 포함된 요소의 수를 반환하며, 빈 객체의 경우 0을 반환한다.

 

from sys import stdin과 import sys는 표준 입력을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모듈 임포트 구문이다.

extend()는 리스트에 다른 리스트나 반복 가능한 객체를 추가하는 파이썬 내장 함수이다. 이 함수는 기존 리스트의 끝에 새로운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추가하며, 리스트를 합치는 데 유용하다.

python
코드 복사
N = int(input()) # 파이썬에서 정수를 입력받는 방법이다. K = map(int, input().split()) # split 함수로 공백으로 구분된 여러 개의 정수를 입력받을 때 사용된다. input_list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 2차원 리스트를 생성하는 코드이다. input_list = list(map(int, stdin.readline().split())) # stdin을 사용하여 입력을 받을 때 사용된다.
S = [] for _ in range(N): S.append(list(map(int, input().split())))
위 코드는 N번 반복하면서 각 줄에서 입력된 정수들을 리스트로 변환하여 S 리스트에 추가하는 코드이다.
 
A, B, C = map(int, input().split()) # 공백으로 구분된 정수들을 한 줄에 입력받을 때 사용된다. A = int(input()) # 각각 다른 줄에서 정수를 입력받을 때 사용된다. B = int(input()) C = int(input())

 

파이썬에서 global 키워드는 전역 변수를 선언하는 데 사용된다. 함수 내부에서 전역 변수를 사용하려면 global 키워드를 사용하여 해당 변수가 전역 변수임을 명시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함수 내에서 전역 변수를 수정할 수 있다.

 
num.remove(num[i])

 

위 코드는 리스트 num에서 i번째 요소를 제거하는 코드이다. 만약 i가 2인 경우, 즉 num[i]가 3일 때 num.remove(num[i]) 코드가 실행되면 num 리스트에서 3이 제거된다. 주의할 점은, num 리스트에서 값을 제거하면 리스트의 길이가 변경되므로 반복문에서 i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위 예제에서 i가 2일 때 3이 제거되면 num 리스트의 길이가 1 줄어들게 되므로, 다음에 반복문에서 i를 사용할 때는 이를 고려하여 인덱스를 조정해주어야 한다.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을 찾는 방법 중에는 index() 메서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index() 메서드는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의 인덱스(위치)를 반환한다.

 

브루트 포스를 사용할 때는 모든 가능한 경우를 다 검사해야 하므로, 반복문을 계속 돌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단순하지만,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어 경우에 따라 다른 알고리즘적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